개요
온라인 장기판의 기능을 설명합니다.
0:00 장기 시작 0:16 한 차길 잘못 열고 무르기 0:24 기보 저장하기(URL공유) 0:28 기보 복사(친구한테 공유하기) - 수순정보도 같이 공유 0:33 복사된 기보는 수순까지 저장됨 0:42 지금 기보에서 한-초만 바꾸기 0:54 완전 초기화(수순 날림) 0:58 상차림 변경(원앙마) 1:13 박보 만들기(상태는 유지하고, 수순정보만 삭제) 1:20 URL복사하기(친구한테 공유하기) - 수순이 사라진 상태로 공유 1:29 글자 크기 늘리거나 줄이기 |
사이트 주소 : https://iseohyun.com/etc/fun/janggi/janggi.html
장기 - iseohyun
iseohyun.com
변수
p = 상차림 (장기 박보(수읽기 문제)등도 가능합니다.) (default:마상마상-마상마상)
log = {말ID, x좌표, y좌표, 제거된말ID}, ...
cho = [Y/N], 하단이 초를 선택할 것인지(default:Y)
t = 현재 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변수에 대한 상세 살명은 하단을 참조 하십시오.
좌표
- 좌표정보(x = 1~9, y = 1~0)
좌하단을 (1, 1)로 생각합니다. - 아래 그림1에서 초 좌변차의 좌표는 (1, 1)입니다.
아래 그림1에서 초 왕의 좌표는 (5, 2)입니다.
아래 그림1에서 한 우변 차의 좌표는 (9, 10)입니다.
상차림
모든 말은 0 ~ 31까지의 ID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각 ID는 다음과 같습니다.
// 0: 초 - 왕. 16: 한 - 왕
// 1: 초 - 차1. 17: 한 - 차1
// 2: 초 - 차2, 18: 한 - 차2
// 3: 초 - 포1, 19: 한 - 포1
// 4: 초 - 포2, 20: 한 - 포2
// 5: 초 - 마1, 21: 한 = 마1
// 6: 초 - 마2, 22: 한 - 마2
// 7: 초 - 상1, 23: 한 - 상1
// 8: 초 - 상2, 24: 한 - 상2
// 9: 초 - 사1, 25: 한 - 사1
// 10: 초 - 사2, 26: 한 - 사2
// 11: 초 - 졸1, 27: 한 - 병1
// 12: 초 - 졸2, 28: 한 - 병2
// 13: 초 - 졸3, 29: 한 - 병3
// 14: 초 - 졸4, 30: 한 - 병4
// 15: 초 - 졸5, 31: 한 - 병5
// *32: 빈 땅
** default에서 0이 초나라이다. 0 ~ 15는 하단의 말을 의미한다.
- 상차림은 0 ~ 31까지의 각 장기말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기술해야 합니다. 만약, x축의 정보가 0이라면 이는 존재하지 않는 말(또는 잡아먹힌 말)로 간주합니다.
- 따라서 상차림은 "장차차포포마마상상사사졸졸졸졸졸장차차포포마마상상사사졸졸졸졸졸"의 순으로 배치됩니다. 예를들어, 기본배치(상마상마-상마상마)의 경우, ("5211912383217131814161143454749459109028882070308040601737577797")와 같이 기술 됩니다.
- 자주 사용되는 상차림에 대해서는 설정에 들어가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박보문제를 만들 때, 하나하나 좌표를 찍을 수도 있지만, 자유롭게 말을 이동 한 뒤에, "현재의 모습으로 재시작"을 사용하여 URL에서 좌표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단, 로그의 정보가 지워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log(+포진)
- 과거 포진의 배치를 동영상이나, 여러장의 그림으로 설명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주 사용되는 포진의 경우 "설정"을 통해서 친구와 얼마든지 공유할 수 있습니다.
- 한 번의 움직임은 한 번의 기록(레코드)으로 대체됩니다. 하나의 기록은 콤마(,)로 구분합니다.
- 하나의 레코드는 3~4개의 정보를 기록합니다.
- 움직인 말의 ID (상차림 참조)
- 이동한 곳의 좌표x [A:0, B:1, C:2 ....]
- 이동한 곳의 좌표y [A:0, B:1, C:2 ....]
- 잡아먹힌 말의 ID (상차림 참조), 만약 해당 턴에 잡아먹힌 말이 없다면, 기록하지 않습니다.
- 예를들어 아래의 포진은 한 구포진과, 초 신포진의 양차합세가 나오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15IE는 우변병을 좌로 1칸(8, 4) 쓴 모습니다.
한나라, 초나라 선택
아랫쪽을 기준으로 초나라를 선택한다면 Y, 한나라를 선택한다면 N입니다.
예시 :
cho=Y
턴
모든 대국을 기록하고, 하이라이트를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예시 :
t=8
기능
- 이동 : 앞 뒤로, 턴을 넘길 수 있습니다.
- 만약 현재 3턴에서 1턴으로 돌아간 뒤에 다시 3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만약 현재 3턴에서 1턴으로 간 뒤에 새로운 착수를 하면 기존의 2, 3턴의 로그는 삭제되고, 새로운 착수가 2턴으로 기록됩니다.
- 기물점수 : 현재 남아있는 기물을 기준으로 점수를 계산합니다.
- 설정 :
- 자주사용하는 상차림을 적용하여 새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있는 기물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시작 할 수 있습니다.(박보 만들기 전용)
- 그림 다운로드 :
현재의 모습을 기준으로 그림을 다운로드 합니다.
이동과 관련하여
*이동관련한 후보지를 선택하면 이동 할 수 있습니다.
**장군 감지나, 외통 감지와 관련된 내용은 추가되지 않았습니다. 차후에 On/Off로 넣을까 고민됩니다. 판장기와 온라인 장기의 차이점이라고 일단은 우겨봅니다.
설정
자주 시작하는 설정으로 세팅할 수 있습니다.
- 상차림(예: 상마상마)의 기준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 진영은 한나라와 초나라의 상하 구분으로 적용됩니다.
- 초기화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 재시작은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로그와, 턴의 정보를 URL에 남겨서 재시작 하게 됩니다.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현재의 모습으로 재시작은, 로그의 정보를 삭제하고, 초반 정보를 현재의 모습으로 설정한 상태로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코드, 이미
- 소스코드는 https://github.com/iseohyun/html/tree/main/etc/fun/janggi
CC-BY-SA 4.0 @iseohyun.com 2023. - 장기알 이미지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EA%B8%B0 , CC:퍼블릭 도메인
장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기장기 기물을 차릴 때 나올 수 있는 초반의 기물의 차림. 초는 바깥상 차림이고 한은 안상 차림이다.Years active불명, 샹치 이후로 추정장르플레이어2셋업 타
ko.wikipedia.org
html/etc/fun/janggi at main · iseohyun/html
Contribute to iseohyun/htm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아선호사상이 성비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 (0) | 2023.04.13 |
---|---|
장기 초보 탈출 (0) | 2023.04.06 |
SVB 은행 파산과 수학 (1) | 2023.03.24 |
복소평면 설명서 (0) | 2023.03.23 |
베지어 곡선 설명서 (0) | 2023.03.22 |
댓글